독도 소개

> 여행정보 > 독도 > 독도 소개

일반 개요

독도는 울릉도 동남쪽 89.493km, 포항에서 267km, 휴전선151km, 대화퇴 340km, 일본의 오끼섬 북서쪽 160k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경 131˚52'08347", 북위 37˚14'22.1636"에 위치하고 있어, 울릉도에서는 조망이 가능한 반면 일본 오끼섬에서는 불가능하다.

한편 우리나라 동해안에서의 최단거리는 울진군 죽변에서 동쪽으로 220.354km로 한국의 섬 가운데 본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섬으로 한국 영토의 동쪽 끝이다.

또한 일본 본토에서 본다면 시마네현 히노미사키해안에서 북서쪽 208km 지점으로 동해안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독도 주소는 2000.4.7 일자로 경북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산37번지까지 변경되었으며, 대표지번은 독도경비대가 소재하고 있는 동도의 산 35번지, 주민 김성도씨가 거주하고 있는 서도의 산20번지가 있다.

전체면적은 186,121m²(동도 64,779m², 서도 95,444.5m², 부속도 15,907.5m²) 37필지이며, 주변 도서수는 33개이고, 해양수산부 소유의 국유지이다.

형성과 지형 및 지질

형성
  • - 해저 약 2000m에서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신생대 3기 플라이오세 전기부터 플라이오세 후기, 약 460만년 전부터
  • 독도의 대표적인 섬인 동도와 서도는 폭 110~160m의 얕은 물길을 사이에 두고 나뉘어져 있다.
지형
  • - 독도는 동도와 서도인 2개 바위섬과 주위의 약 32개 바위와 암초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목은 임야이며 37필지에 면적은 180.902㎡이다.
  • - 250만년 전 사이에 생성되었다. 울릉도가 약 250만년 전부터 생성된 것에 비해 약 200만년 앞선다고 봐야 한다.
동도
  • - 동도는 최고봉 99.4m로 북쪽에 2개의 화산흔적이 있으며, 정상에 비교적 평탄한 부분이 있다.
  • 해안은 10〜20m의 단애를 이루고 있으나,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섬의 동쪽 끝부분에 깊이가 100m 정도 되는 컵모양의 분화구가 있는데, 분화구에서 바다까지 바닷물이 왕래하는 동굴(천장굴) 두개가 있어 호수를 이루고 있다. 경사면에는 부분적으로 20〜30㎝ 두께의 토양이 지표를 형성하고 있다.
서도
  • - 서도는 최고봉 174m로 산정이 뾰족한 원뿔형이다. 독도의 여러 섬 가운데 가장 높고, 가장 넓다.
  • 경사가 가파른 하나의 봉우리로 되어있고, 해안 단애에는 많은 동굴이 있다. 또한 특이한 점은 북서쪽 해안의 물골 바위틈에서 조금씩 떨어지는 물은 하루 한 드럼 정도의 분량으로 독도에서의 생활에 귀중한 수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동·서도간 최단거리는 약 170m이고, 해안선은 약 5㎞ 정도이다.
지질
  • - 화산활동에 의하여 분출된 알칼리성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석의 분석결과 현무암과 조면암으로 분석되었다.
  • 토양은 산정상부에서 풍화하여 생성된 잔적토로서 토성은 사질양토이며, 경사 30도 이상의 급격한 평행사면을 이루는 흑갈색 또는 암갈색의 토양이다.
    토심은 깊은 곳이 60㎝ 이상인 곳도 있으나 대부분 30㎝ 미만으로, 토양입자가 식물뿌리에 밀착되어 있어 토양유실의 가능성은 낮으나 서도의 일부 노출된 토양의 경우 토양유실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울릉도의 역사

    • 신라 하슬라주 군주 이사부 우산국(울릉도)정벌. 독도, 한반도 역사로 편입.
    • 울릉도 독도의 주민 거주 금함
    • 세종실록지리지 편찬. "울릉도와 독도는 정동쪽 바다에 있는데 서로 거리가 멀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다"고 기록.
    • 안용복 1차 도일.
    • 대마도에서 "막부가 울릉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정했다"고 알림.
    • 일본 하야시 시헤이, '삼국통람도설'에서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영토 송도(松島)로 표기
    • 일본 해군, '조선동해안도'작성. 독도를 조선 영토로 표기. 일본 시마네현, 지도를 작성하면서 독도를 시마네현 지도에 포함시켜야 할 지 여부 내무성에 문의. 내무성, 독도는 조선 영토라고 결론.
    • 일본 국가 최고 기관인 태정관(太政官), 독도는 우리와 관계없다 지령문 만들어 내무성으로 보냄.
    • 울릉도 군수의 관할 구역으로 石島(석도:독도를 지칭)포함시킴.
    • 일본 각의(閣議)에서 "독도는 무인도로서 다케시마(竹島)라고 칭하고 시마네현 관할 아래 둔다"고 일방적으로 결정. 이후 토지대장 등에 등재.
    • 광복 뒤 독도는 한국령으로서 일본의 어로제한선 바깥 지역으로 구분됨.
    • 연합군 최고사령부, 독도를 한국 영토로 구분. 맥아더라인 통해 일본이 독도에서 고기잡이를 하지 말것도 명시 .
    • 연합국 '옛 일본 영토 처리에 관한 합의서'작성, 독도는 대한민국의 주권에 이양할 것 합의
    • 한국 정부, 독도영유권 재천명.
    • 일본 정부, 독도문제 국제사법재판소에 위임 제의. 한국 정부 거부.
    • 울릉군 주민 최종덕씨, 최초로 독도에 주민등록 이전.
    • 독도 일대를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
    • 독도 최초의 주민 최종덕씨의 사위가 독도로 주민등록 이전. 최종덕씨 사망.
    • 독도에 우편번호 (799-805) 부여